FSTAB(5) | 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 | FSTAB(5) |
이름¶
fstab - 화일 시스템에 대한 고정적인 정보 저장
개요¶
#include <fstab.h>
설명¶
fstab 화일에 다양한 화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. fstab 화일은 프로그램에 의해 읽히기만 할 뿐 쓰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. 이 화일을 제대로 만드는 일은 시스템 관리자의 책임이다. 한 줄마다 하나의 화일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. 한 줄 상의 각 필드는 탭 또는 스페이스로 구분된다. 그 순서는 매우 중요하다. 왜냐하면 fsck(8), mount(8), and umount(8) 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fstab 에 있는 내용을 순차적으로 읽기 때문이다.
첫번째 필드인 (fs_spec) 에서는 마운트될 블럭 특별 장치 또는 원격 화일 시스템을 적는다.
두번째 필드인 (fs_file) 에서는 그 화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마운트 포인트를 적는다. 스왑 파티션의 경우 이 값은 ``none''이라고 적는다.
세번째 필드인 (fs_vfstype) 에서는 화일 시스템의 유형을 적는다. 현재 지원되는 3 가지 유형의 화일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:
- minix
- 로컬 화일 시스템으로서 화일명의 길이는 14 또는 30 자를 지원한다.
- ext
- 로컬 화일 시스템으로서 긴 화일명, 더 큰 inode 를 지원한다. 이 화일 시스템은 ext2 화일 시스템으로 교체되었고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.
- ext2
- 로컬 화일 시스템으로서 긴 화일명, 더 큰 inode 를 지원하며 기타 많은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.
- xiafs
- 로컬 화일 시스템으로서 긴 화일명, 더 큰 inode 를 지원하며 기타 많은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.
- msdos
- MS-DOS 파티션에 대한 로컬 화일 시스템.
- hpfs
- HPFS 파티션에 대한 로컬 화일 시스템.
- iso9660
- CD-ROM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로컬 화일 시스템.
- nfs
- 원격 시스템의 파티션을 마운트할 때 쓰이는 화일 시스템.
- swap
- 스와핑에 사용되는 디스크 파티션.
만약 vfs_fstype 이 ``ignore''라고 적혀 있다면 그 줄은 무시된다.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디스크 파티션을 보여줄 때 유용하다.
네번째 필드인 (fs_mntops) 에서는 화일 시스템에 관련된 마운트 옵션을 기술한다.
It is formatted as a comma separated list of options. It contains at least 각 옵션은 콤마(,)로 구분된다. 최소한 마운트 유형과 각 화일 시스템에 알맞는 추가 옵션으로 구성된다. nfs 화일 시스템이 아닌 경우, 각 마운트 옵션에 대해서는 mount(8) 를 보기 바란다. nfs 화일 시스템에 관련된 옵션에 대해서는 nfs(5) 을 참고하라.
다섯번째 필드인 (fs_freq) 에서는 dump(8) 명령에 의해 덤프될 화일 시스템을 표시해둔다. 만약 다섯번째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0 이라는 값이 반환되고 dump 는 해당 화일 시스템이 덤프될 필요없다고 생각한다.
여섯번째 필드인 (fs_passno) 에서는 fsck(8) 프로그램에 의해 부팅시 어떤 화일 시스템을 점검할 것인지 기재한다. 루트 화일 시스템은 fs_passno 값 1 을 가져야 하며 다른 화일 시스템은 fs_passno 값 2 를 갖는다. 한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화일 시스템은 순서대로 점검되지만 여러 다른 드라이브 상에 존재하는 화일 시스템은 하드웨어적 병렬처리가 가능하므로 동시에 이뤄진다. 여섯번째 필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0 인 경우 0 이 반환되며 fsck 은 주어진 화일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.
fstab 화일로부터 자료를 일기 위한 루틴으로는 getmntent(3) 이 있다.
관련 화일¶
/etc/fstab fstab 화일은 /etc 디렉토리에 놓여 있다.
버그¶
mount(8) 안의 문서가 더욱 최신 정보를 가지고 있다.
참고¶
HISTORY¶
fstab 형식은 4.0BSD에서 생겼다.
번역자¶
이 만 용
<geoman@nownuri.nowcom.co.kr>
<freeyong@soback.kornet.nm.kr>
1993년 11월 27일 | 리눅스 0.99 |